Post

Docker 시작하기: 기초 개념과 필수 지식 정리

기초 개념과 필수 지식 정리

Docker 시작하기: 기초 개념과 필수 지식 정리

📌개요

Docker란 무엇이고 왜 사용하는지 정리한다.

📌Docker란?

Docker는 애플리케이션을 컨테이너라는 독립된 환경에서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플랫폼이다. Docker를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 개념들과 지식에 대해 알아본다.

📌왜 사용하지?

1. 일관된 환경 제공

Docker는 컨테이너를 통해 애플리케이션과 그 종속성들을 포함하는 독립된 환경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개발, 테스트, 배포 환경에서 일관된 실행 환경을 보장할 수 있다. 이는 “내 컴에선 잘 되네요. (Works on my machine)”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된다.

2. 효율적인 리소스 사용

Docker 컨테이너는 가상 머신보다 가볍고 빠르다. 컨테이너는 호스트 운영 체제의 커널을 공유하면서 실행되기 때문에, 리소스 오버헤드가 적고 빠른 성능을 제공한다.

3. 빠른 배포와 스케일링

Docker를 사용하면 애플리케이션의 배포와 스케일링이 용이하다. 이미지를 통해 컨테이너를 빠르게 생성하고 실행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컨테이너를 쉽게 확장할 수 있다.

4. 이식성

Docker 이미지는 어디서나 일관된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을 다양한 플랫폼에서 쉽게 실행할 수 있다. 이는 로컬 개발 환경, 테스트 서버, 클라우드 환경 등에서 동일하게 동작한다.

5. 버전 관리와 롤백

Docker 이미지는 버전 관리가 가능하며, 특정 버전으로 롤백할 수 있다. 이는 애플리케이션의 안정성과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6. 분리된 환경 제공

Docker는 각 애플리케이션을 분리된 컨테이너에서 실행하기 때문에, 서로 간섭 없이 독립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이는 보안성과 안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7. DevOps와 CI/CD 통합

DockerDevOpsCI/CD 파이프라인과 쉽게 통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동화된 빌드, 테스트, 배포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다.

📌Docker를 이해하기 위한 기본 지식

Docker를 이해하고 사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본 지식이 필요하다.

  1. 리눅스 명령어와 기초 운영 체제 지식: Docker는 주로 리눅스 환경에서 사용되므로 리눅스 명령어와 파일 시스템 구조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2. 가상화 개념: Docker는 가상화 기술의 한 형태이므로, 전통적인 가상 머신과 비교하여 컨테이너의 장점과 차이점을 이해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3. 네트워킹 기초: 컨테이너 간의 통신과 네트워킹 설정을 이해하기 위해 기본적인 네트워킹 개념이 필요하다.
  4. 버전 관리 시스템: Dockerfile과 이미지를 버전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되므로 Git과 같은 버전 관리 시스템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Docker의 핵심 개념

1. Containers (컨테이너)

컨테이너는 애플리케이션과 그 종속성들을 포함하는 경량의 독립 실행 환경이다.

컨테이너는 동일한 호스트 운영 체제 커널을 공유하면서도 서로 격리되어 실행된다.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이 어디서나 일관되게 실행될 수 있다.

2. Images (이미지)

이미지는 Docker 컨테이너를 생성하기 위한 읽기 전용 템플릿이다.

이미지는 여러 개의 레이어로 구성되며, 각 레이어는 기존 이미지에서 변경된 내용을 포함한다. 이미지는 재사용 가능하며, Docker Hub와 같은 레지스트리에 저장하고 배포할 수 있다.

3. Volumes (볼륨)

볼륨은 컨테이너와 호스트 간의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저장하고 공유하기 위한 메커니즘이다.

컨테이너가 삭제되더라도 볼륨에 저장된 데이터는 유지된다. 볼륨은 컨테이너 간에 데이터를 공유할 때도 유용하하다.

4. Builds (빌드)

빌드는 Dockerfile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이다.

Dockerfile은 애플리케이션 환경을 설정하는 명령어들의 스크립트다. docker build 명령어를 사용하여 Dockerfile을 기반으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